1. 캐릭터 프로필
★ 이름 : 사일런트 룸 (silent room サイレントルーム)
★ 생일 : 3월 1일
○ 성별 : 남성
○ 출신지 : ***
○ 취미 : 피아노
♡ 좋아하는 것 : 매직 아워[* 촬영에 필요한 빛이 충분하면서도, 인상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여명 혹은 황혼 시간대.] Magic Hour
× 싫어하는 것 : 슬럼프
○ 등장 팝픈 카드 : [노멀] TS Vol.1 53번 (17 버전) [레어] fantasia Vol.2 12번 "真夜中の舞踏会"
2. 캐릭터 소개
가. 캐릭터 한 줄 프로필
▶ "인생의 선율을 연주하는 피아노, 여기에" (17 the MOVIE 캐릭터 프로필)
나. 스탭 코멘트(Design by きの子http://www.konami.jp/bemani/popn/music17/mc/song18/silent.html)
「人生」というテーマをいただいたので、キャラがメインというよりは、雰囲気モノのアニメにしてみました。人生とは…音楽とは・・・幸せとはなんぞ…?なんて考えながら、どんな曲が出来上がってくるのかワクワクしながら作りました。そのワクワクは、かなりギリギリまで引きずられましたが、カンタビレオさんはその期待を全く裏切らないどころか、 すんばらしい曲を仕上げてくれました。(初めて聞いたときはあまりの衝撃に鳥肌立ちました!)カンタビレオさんのイメージ、一気に変わりました。こんなスゴイ人だったんだ。。あわわ。。でも、カンタビレオさんがピアノ弾いているとこ・・・・やっぱり想像できません!
* * *
1Pはモノクロですが、2Pはカラーなので是非2Pアニメを見て欲しいです。こんな演出だったんだ…!と気づく箇所があるハズ。
다. 해설
- 小雨) 현행 팝픈뮤직 최고레벨인 50레벨 악곡들 중 혼자서 세 곡을 담당하고 있는 캐릭터. 아니, Fly far bounce를 제외하면 EX 채보의 난이도가 모두 구 43에 해당하는 49~50레벨인 무서운 캐릭터이다. 캐릭터 소개에서 언급된대로, '인생'을 주제로 한 애니메이션을 만드려 노력했다고 했다. 기본 컬러는 흑백이나 2P는 색이 들어가있기에 비교해 볼 수 있겠다. 생일의 지정 방식은 サイレントルーム의 앞 두 글자(さんいち)에서 딴 것이다.
- 대표 담당곡인 사일런트의 곡 코멘트가 '인생은 이런 흔해빠진 음악과 닮았다'고 하는데, 그 흔해빠진 '음악'을 자세히 들어보면 그 속에 많은 감정을 함의하고 있다. 우리 인간은 태어나서부터 죽을 때까지 그 사이의 시간을 자신이 책임지면서 살아간다. 하지만 태어나는 것부터 시작해 너무도 많은 일들이 자신의 뜻대로 흘러가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책임을 져야 할 일이 많다. 그런 불합리함을 감수하면서, 삶과 죽음 사이에서 다양한 색채와 감정의 일들을 겪으며 각자의 인생을 살아가는 것이 음악을 연주하는 과정과 닮은 것은 아닐까. 그 음악은 사람마다 모두 달라서 템포며 사용하는 악기, 음색, 길이 모두 다르지만 그 음악 사이의 우열을 누가 함부로 가릴 수 있을지도 의문이고. 지금까지 길지 않은 인생을 살아오면서 많은 사람들을 만나고, 또 많은 음악을 들으며 그것이 나의 일부가 되었다. 앞으로도 계속, 많은 음악을 들을 수 있었으면 좋겠고 또 나도 불협화음이 아닌 훌륭한 음악을 연주할 수 있기를 바란다.
3. 캐릭터 담당곡
[17 the MOVIE]
♤ サイレント / 音楽 / 弁士カンタビレオ
§ 人生は こんな ありふれた 音楽 に似ている
- 【BPM 210~520(N,H) / 210~360(EX)】 N29 / H40 / EX50. 장르명 사일런트(SILENT). 17 the MOVIE의 보스곡이자 현행 팝픈뮤직의 보스곡 위치를 점하고 있는 곡으로, 장르명 '사일런트(SILENT)'로도 많이 부르며, 여기서의 사일런트는 무성영화(無聲映畵)를 의미한다. EX 채보는 수록 당시 42레벨(현 48레벨에 상당)로 출시되어 역대 팝픈뮤직 난이도 책정 미스 중 가장 대표적인 사례로 회자된다. 블로그 주인장도 에이 설마 했는데 2017년 12월에 칸사이 지방에 가서 17 the MOVIE를 플레이 해 보면서 진짜로 42레벨로 표기된 것을 보고서야 믿었다. 그 미친 난이도 때문에 '어찌할 수 없는 것(どうしようもないもの)'이란 별칭이 있기도 하다. 다만, 전작(16 PARTY♪)에 수록된 슈뢰딩거의 고양이 EX와 달리 짠 게이지가 아니라는 점이 유일한 위안점. 2024년 현재에는 Chaos:Q, o†o보다는 낫다는 평이 있지만 여전히 50레벨의 일원을 담당하는 팝픈뮤직의 장기 집권 보스곡 중 하나이다. 그리고 블로그 주인장은 최고 클리어 레벨이 49레벨 중하급이기 때문에 50레벨의 난이도를 논하기에는 조금 멋적은 점이 있다.
- 나중에 wac이 밝힌 제작 비화에 따르면 이탈리아의 전설적인 영화 음악 작곡가인 엔리오 모리코네(Ennio Morricone, 1928. 11. 10. ~ 2020. 7. 6.)에 대한 리스펙트로 이 곡을 제작했다고 밝혔다. 당시 트윗에 따르면 역시 전설적인 영화 음악 작곡가인 존 윌리엄스(John Williams, 1932. 2. 8.~ / <스타워즈> 시리즈, <인디아나 존스> 시리즈, <E.T.>, <쉰들러 리스트> 등 명작 영화들의 음악을 맡았다.) 및 한스 짐머(Hans Zimmer, 1957. 9. 12.~ / 앞의 두 사람 못지 않게 쟁쟁한 영화 음악가로,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다크 나이트> 3부작, <인셉션>, 드니 빌뇌브 감독의 <블레이드 러너 2049>, <듄>(2020), <듄 2>(2024) 등의 음악을 맡았다.)도 언급했지만 엔니오 모리코네처럼 해보고 싶었다고.
ベタベタでバレバレすぎて今更あえて言うほどでもないけど 「音楽」とう拙曲はクラシックではなくてモリコーネへのリスペクトというかモリコーネごっこでした 映画モチーフだったしおわかりとは思いますが ていうかあれですね 映画をテーマのポのボス曲、となった時に 激しいの作れそうなジョンウィリアムスでもハンスジマーでもなくてモリコーネみたいのにしたくなったんすね なんでだったかもう忘れたけど |
- 작곡가 명의인 '변사 칸타빌레오'는 wac. 기본 BPM은 210~360이나 노멀과 하이퍼는 초반에 520까지 치솟는 변속이 있으니 주의. 곡 제목과 같은, wac의 앨범 《音楽》에 롱버전이 수록되었다. beatmania IIDX 20 tricoro와 리플렉비트에 이식되었으며, SoundVolteX II -Infinite Infection- 에는 두 종의 리믹스 악곡이 수록되었으며 각각 壊音楽, 解音楽이라는 부제가 붙었다. 괴음악은 'Doppelganger', 'もぺもぺ, 'MARENOL', '彁'(태고의 달인) 등을 작곡한 BMS 출신 작곡가 LeaF가 리믹스하였고, 해음악은 Yu_Asahina가 리믹스하였다.
[20 fantasia]
♠ ダージュ / ピアノ協奏曲第1番"蠍火" / virkato
§ "아름답게, 흩날려라." 美しく、儚く散りな
- E20 / N30 / H44 / EX50. 장르명은 더지/다쥬(DIRGE). 제목은 '피아노협주곡 1번 갈화(사소리비)'라고 읽으며, 한국에서는 蝎자를 비슷하게 생긴 한자인 헐(歇)로 읽어서(원래는 갈이 맞는 음으로 갈화라고 읽어야 한다. 여기에 대해서는 당시 OST를 리핑해서 불법 배포하던 사람의 실수라는 설이 유력하다. 2024년 현재에도 앨범을 구매해 리핑하는 블로그 주인장 경험상 그 당시에는 지금처럼 알잘딱하게 음악 정보를 읽어 태깅해주는 프로그램이 없어 일일이 태그를 달아야 했다.) 헐화라고 알려져있기도 하다. 장르명은 장송곡(葬送曲)이라는 뜻인데 장송곡은 레퀴엠(REQUIEM)이라고도 불리며 이렇게까지 격렬한 장르의 음악은 아니다. 하지만 블로그 주인장이 만약 죽는다면 이 노래의 音楽 앨범 버전으로 틀어달라고 하고 싶다는 생각을 한 적은 있다.
- beatmania IIDX 11 IIDX RED의 보스곡이었으며, 엑스트라 전용곡이었던 Tatsh(dj killer 명의 사용)의 GENOCIDE를 특정 조건을 만족해 클리어하면 등장하는 원 모어 엑스트라 전용곡이었다. 원 모어 엑스트라 등장시 리절트에 해당 작품의 이미지 캐릭터였던 사쿠라(茶倉)가 맹렬한 눈으로 화면 너머를 응시했으며, 팝픈뮤직 곡 소개멘트도 원래는 이 리절트에 써 있던 문구였다. 작곡가 wac의 앨범 《音楽》 발매 기념으로 팝픈뮤직에 이식되었다. 이식곡 중에서 가장 어려운 난이도로 무장했었으며(현재는 perditus†paradisus 어퍼와 함께 50레벨), 현행 팝픈뮤직 보스곡 라인 중 하나를 맡고 있다.
- 첫 출처 게임에서도 상당히 어려운 난이도로 IIDX RED의 보스곡이었음은 물론 싱글 하이퍼는 八段에, 싱글 어나더는 초기 개전에 등장하다가 十段을 거쳐 2024년 현재에는 중전(中伝, 23 copula부터 생긴 단위로 개전과 十段 사이의 단위)급 난이도로 평가받는다. 변속은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까다로운 계단 + 연타 등 배치로 풀콤보 등이 상당히 어렵다. 더블 플레이 쪽은 스크래치 노트가 2개밖에 없으나 더블 어나더가 2024년 현재도 개전 과제곡으로 수록되는 굉장한 난이도다. 웹상에서는 이 사소리비의 더블 어나더를 하다가 너무 어려워서 그런지 창문 밖으로 뛰어내리는 오래된 MAD도 있을 정도.
- 비트매니아 IIDX 등에 피아노 곡을 주로 제공한 쿠보타 오사무(久保田修 ; Osamu Kubota)가 V-RARE 14 앨범에서 락 오페라 풍으로 리믹스한 전적이 있으며(부제는 상아와 양 창자와 육성을 위한 변주곡), 롱버전은 IIDX 11 IIDX RED의 OST와 wac의 앨범 《音楽》에 수록되어 있는데 후자는 쿠보타 오사무가 오케스트레이션을 곁들인 어레인지를 가미하였다. 더불어 비트매니아 IIDX 20주년 기념 트라이뷰트 앨범에서 BlackY의 리믹스가 수록되었는데, 이는 게임화되어 beatmania IIDX 27 HEROIC VERSE'의 라이트닝 모델 전용곡으로 선행 수록되었다(장르명은 PDM).
[うさぎと猫と少年の夢]
♤ Fly far bounce / 猫叉Master
§ 鍵盤を跳ね回る音はもっともっと高く翔ぶ
- E7 / N27 / H37 / EX46. 2017년 3월 15일에 업데이트로 추가되었다. 《노스탤지어(ノスタルジア)》의 수록곡이 이식된 것으로, 반대급부로 팝픈 측에서는 Harmonia가 노스탈지아에 이식되었다. 이후 무츠히코 이즈미에 의해 어레인지되어 기타도라로 이식되기도 하였다. 곡 자체는 상당한 양곡(良曲)이나, 하필이면 담당 캐릭터가 사일런트 룸이라 유일하게 EX 채보의 난이도가 구43(현 49~50)에 해당하지 않는 곡이 되었다.
[peace]
♠ zeeros / onoken
§ 純粋な心は 強い音をたてて揺れ動く
- E14/N30/H42/EX49. 2019년 10월 31일에 업데이트로 추가된 '팝픈 타임 트립'의 <노스탤지어3편>의 해금곡이다.
[CS Lively / AC 解明リドルズ]
♤ virkatoの主題によるperson09風超絶技巧変奏曲 / Wakhmaninov Akhutaninov
§
- E18/N33/H45/EX49. 노스탤지아에서의 이식곡으로, The 8th KAC에서 공개된 노스탤지어 부문 결승전 신곡이었다. 2022년 2월 2일에 팝픈뮤직 라이블리에서 판매를 시작한 '노스탤지아 셀렉션 악곡 팩 vol.1'에 수록되어 이식되었다. EX 채보는 라이블리에 수록될 때 50레벨이었으나, 2022년 8월 11일에 出張!ポップンクエスト Lively II 해금 퀘스트를 통해 이식되면서 49로 조정되었다. 작곡가는 명의를 보면 알겠지만 wac과 Akhuta의 합작곡. 제목은 'virkato의 주제에 따른 person09풍 초절기교변주곡'이라는 뜻이다.
♠ (THRENODY) / ピアノ独奏無言歌 "灰燼" / BEMANI Sound Team "Virkato Wakhmaninov"
- E17/N31/H45/EX49. 2022년 6월 12일에 일본 도쿄 시부야渋谷에서 열린 콘서트 'BEMANI SYMPHONY Concert 2022'에서 처음 공개된, wac의 신곡으로 사소리비(蠍火)의 후속곡이다. 제목은 '피아노 독주 무언가 '회진(灰燼; 흔적 없이 타버림)'. beatmania IIDX에서 공개된 장르명은 '비가(悲歌), 애가(哀歌)'라는 뜻의 트레너디(threnody).
† virkatoの主題によるperson09風超絶技巧変奏曲 [UPPER] / Wakhmaninov Akhutaninov
- [E22]/[N37]/[H47]/[EX50]. 2022년 8월 18일에 업데이트로 추가된 UPPER 채보로, 出張!ポップンクエスト Lively II 이벤트의 마지막 해금곡이다. 전 채보에 롱팝군이 들어가 있으며, 노멀채보는 Mychronicle N채보와 함께 노멀 채보 최고 레벨이다.